
더피알=김경탁 기자 |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받지 못한 채권 회수를 대행해주는 한국무역보험공사(이하 무보)의 ‘해외채권 회수대행 서비스’가 저조한 실적으로 인해 기업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11일 나왔다.
오세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무보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외채권 회수대행 서비스’의 회수율은 △2020년 2.5% △2021년 2.1% △2022년 12.3% △2023년 5.3%로 매우 저조했고, 2024년 8월 기준 회수율은 3.8%로, 전년 동월 대비 8.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2020~2024년) 접수된 해외채권 회수대행 서비스 건수는 총 294건으로, 이 중 82%(241건)가 중소기업에서 의뢰한 것이다. 무보의 서비스가 중소기업에게 자금 확보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채권 회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채권의 연령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미만의 채권은 30.6%, 1년 이상은 69.4%를 차지해, 연령이 높을수록 부실채권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 회수율이 크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 인해 채권 회수가 지연되면서 서비스를 포기하는 기업도 많아졌다. 최근 5년간 채권 회수 지연으로 서비스 포기를 요청한 기업은 45.9%에 달했으며, 지난해에는 41건의 포기 요청이 접수돼 약 185억 원 상당의 채권 추심이 종결됐다.
전문가들은 채권 연령이 높아지기 전에 신속히 회수대행 서비스를 신청하도록 기업에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전담 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2020년 6명으로 시작한 서비스는 2022년 5명으로 인원이 오히려 감소했다. 특히 법률 검토나 채권 추심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인 변호사와 신용관리사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오세희 의원은 “현재 무보의 해외채권 회수대행 서비스는 사실상 보여주기식 사업에 불과하다”며 “중소기업들이 채권 회수를 포기하지 않도록 인력 확충과 전문성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