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 매거진

K-푸드 수출, 11월까지 90억 달러 돌파…라면·냉동김밥이 효자

15개월째 성장세…라면·과자·음료 등 역대 최고 실적
쌀가공품, 미·중 등 유통매장 입점으로 전년比 39.3%↑

  • 기사입력 2024.12.04 07:00
  • 기자명 김경탁 기자

더피알=김경탁 기자 | 올해 11월까지 K-푸드 수출액이 90억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 과자, 음료, 쌀가공식품 등 주요 품목은 모두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하며, 15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1월 말 기준 농식품(K-푸드) 수출 누적액은 전년 대비 8.1% 증가한 90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가공식품은 9.6% 증가한 76억6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주요 농식품 품목별 수출액 증감율. 자료=농림축산식품부
주요 농식품 품목별 수출액 증감율. 자료=농림축산식품부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라면은 최초로 연간 수출액 10억 달러를 넘어서며, 전년 대비 30.0% 증가한 11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과자류는 6억 달러를 돌파하며 16.5% 성장을 거뒀으며 음료도 6억 달러 이상 수출로 14.9% 상승을 기록했다.

쌀가공식품의 경우도 냉동김밥, 즉석밥, 떡볶이 등이 인기를 끌며 39.3% 증가한 2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커피조제품은 2.8% 증가해 누적 3억 달러를 돌파했다. 인스턴트커피의 인도네시아 수출 확대가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류 중에서 소주는 미국 주류 전문매장 입점과 중국 내 수요 증가로 3.7% 증가했고, 리큐르는 브라질에서 대형 유통 매장 판촉 효과로 전년 대비 216.4% 급성장을 거뒀다.

신선식품 수출은 전년 대비 0.4% 증가했으며, 김치, 포도, 유자 등이 강세를 보였다.

김치의 경우 미국과 유럽의 대형 유통매장 판촉 효과로 3.9% 증가, 포도는 수출 시장 다변화와 안정적 물량 확보로 20.2% 상승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수출 시장별로 보면, 미국이 14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0% 증가하며 최대 수출 시장으로 부상했는데, 특히 대형 유통매장 신규 입점이 실적 상승을 이끌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도 13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7.0% 증가하는 성적을 기록했다.

한국 냉동김밥에 관심을 보이는 미국인들.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한국 냉동김밥에 관심을 보이는 미국인들.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한편 농식품부는 11월 20일 진행된 해외 바이어 초청 상담회(BKF+)를 통해 수출업체와 바이어 간 후속 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며, 주요국 연말 소비 시즌과 연계한 온·오프라인 판촉 행사를 집중 추진하고 있다.

양주필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주요 수출기업들과 협력해 연말 소비 특수를 활용, 수출 확대에 총력을 다하겠다”면서, K-푸드의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