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 매거진

탄소중립부터 인권경영까지, LG전자의 지속가능 경영 성과

13년 연속 ‘DJSI 월드’ 편입…아태지역 15년 한국 지수 16년 연속
KCGS·MSCI 등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서 수년 연속 A등급 평가

  • 기사입력 2024.12.24 09:43
  • 최종수정 2024.12.24 09:45
  • 기자명 김경탁 기자

더피알=김경탁 기자 | LG전자가 13년 연속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월드’에 편입되며, ESG 경영 비전인 ‘모두의 더 나은 삶’을 위한 환경, 인권, 노동 등 전반에서의 지속가능성 실천 노력을 글로벌 상위 10%로 인정받았다.

24일 LG전자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월드(World)'에 13년 연속 편입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2500대 기업 중 지속가능성 분야 상위 10%에 속한다는 의미다.

17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조주완 LG전자 CEO가 올해를 마무리하는 CEO F.U.N. Talk을 열고, 구성원들에게 2025년 회사가 마주할 글로벌 경영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사업전략 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17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조주완 LG전자 CEO가 올해를 마무리하는 CEO F.U.N. Talk을 열고, 구성원들에게 2025년 회사가 마주할 글로벌 경영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사업전략 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는 올해 S&P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에서 '가전 및 여가용품(Leisure Equipment & Products and Consumer Electronics)' 부문 최고 점수를 받아 13년째 DJSI 월드에 선정됐다. 이는 가전 및 여가용품 부문 국내 기업 중 최장기간 기록이다.

LG전자는 'DJSI Asia Pacific'(아시아·태평양 지역 600대 기업 중 상위 20%)과 'DJSI Korea'(국내 200대 기업 중 상위 30%)에도 각각 15년, 16년 연속 편입을 이어갔다.

LG전자는 환경 정책 및 관리, 인권 경영, 인적 자원 관리, 고객 관계, 공급사슬 관리, 제품 책임 관리 등 ESG 전 영역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를 통해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이라는 ESG 경영 비전 아래 다양한 전략과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LG전자는 ESG 비전의 하나로 '지구를 위한 3C(Carbon Neutrality·탄소중립, Circularity·자원순환, Clean Technology·친환경 기술)'를 내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제품 제조 과정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정 개선, 에너지 절감 기술 도입, 재생에너지 사용 등을 통해 2017년 대비 제품 생산 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Scope 2)을 54.6% 감축했다. 또한 UN 탄소배출권을 활용해 탄소중립 달성을 가속화하고 있다. LG전자는 2015년 가전업계 최초로 UN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획득한 바 있다.

제품 사용 단계(Scope 3)에서도 TV, 냉장고, 세탁기 등 7대 주요 제품군의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제품별 소비전력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엔 글로벌 콤팩트(UNGC) 및 책임있는 비즈니스 연합(RBA) 회원사로서 국제기구의 인권 및 노동 기준도 준수하고 있다. 또한 강화되는 글로벌 ESG 관련 법안에 대응하기 위해 인권경영 프로세스를 고도화하며 ESG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LG전자는 한국ESG기준원(KCGS)의 ESG 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 글로벌 평가기관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의 ESG 평가에서도 5년 연속 A등급을 획득하며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들로부터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한편 글로벌 금융정보회사 S&P 글로벌은 매년 기업의 경제적 성과뿐 아니라 환경(Environmental)·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분야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DJSI를 발표한다. DJSI는 기업 간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비교하고, 사회책임투자의 주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