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최현준 기자|챗GPT로 AI 혁신을 일으킨 오픈AI가 이번엔 ‘영상 공유 SNS’라는 새 무대에 뛰어들었다.
AI 모델 ‘소라 2’와 함께 출시된 모바일 앱 ‘소라(Sora)’는 사용자가 직접 만든 AI 영상을 공유·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틱톡·인스타그램에 이어 글로벌 숏폼 플랫폼의 지형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오픈AI가 인공지능(AI)으로 만든 영상을 다른 이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출시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장에 본격 진출한 건데 틱톡, 인스타그램 등 타 숏폼 플랫폼 대항마로 거듭날지 주목된다.
오픈AI는 30일(현지 시간) 영상 생성 AI 모델 '소라 2' 출시와 함께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앱 '소라'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이 모델에 대해 영상 속 이미지와 오디오가 정확히 맞춰 재생할 수 있으며 영상의 물리 법칙을 이전보다 더욱 정확하게 따르도록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텍스트 프롬프트에 따라 객체를 변형하고 현실을 왜곡하는 현상도 크게 줄였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다른 영상 생성 AI 모델의 경우 농구 선수가 슛을 놓치면 공이 자연스럽게 골대로 순간이동 한다면, '소라 2'에서는 농구 선수가 슛을 놓치면 공이 백보드에 맞고 튀어 오르는 등 어색하지 않은 영상을 만들어낸다.
소라 앱 이용자는 생성한 영상을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등 타 플랫폼처럼 앱 내 피드에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관심사에 맞춘 알고리즘에 따라 다른 이용자가 게시한 AI 생성 영상도 볼 수 있다.
알고리즘 기반 추천을 위해 오픈AI는 사용자의 소라 활동과 IP 주소를 통해 수집된 위치, 이전 게시물 참여 내역, 챗GPT 대화 내역을 고려한다.
이용자 본인의 모습을 본딴 AI 아바타와 목소리를 활용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카메오'라는 기능으로 이용자 모습이 담긴 짧은 영상과 음성을 삽입하면 된다.

현재 '소라' 앱은 애플 앱스토어에서만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용자 초대를 받아야만 이용할 수 있으며 구글 플레이 등 안드로이드 버전으로도 출시할 예정이다.
오픈AI는 소라 앱의 안전한 사용을 중요시해 알고리즘 기반 개인 설정 해제, '카메오' 사용 권한 미부여 등 자녀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초상권 보호를 위해 '카메오'가 포함된 모든 동영상은 이용자가 원할 시 언제든지 접근 권한을 취소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고 전했다.
오픈AI 소라 팀장 빌 피블스는 “이번 소프트웨어가 영상 생성 분야에서 챗GPT와 같은 순간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소라 2 출시가 기대된다"며 "소라 2 iOS 앱은 미국과 캐나다 앱스토어에서 이용할 수 있다. 빠르게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