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리포트 ①] 환경=리스크 관리?
[‘E’ 리포트 ①] 환경=리스크 관리?
  • 안선혜 기자 (anneq@the-pr.co.kr)
  • 승인 2022.02.07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그룹 주력 계열사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분석
재생에너지 전환 도전받지만, 국내 제도적 한계
탄소배출권 확보…비용 절감, 사회공헌 연계
삼성전자가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해 수원사업장 종합기술원 옥상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 패널.
삼성전자가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해 수원사업장 종합기술원 옥상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 패널. 뉴시스

[더피알=안선혜 기자] 기관투자자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공개 요구가 늘어나면서 비재무 정보와 성과들을 정리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투자자와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 소통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아무도 잘 보지 않는 방대한 분량의 리포트이기도 하다.

심지어 취재 과정에서 리포트에 기재된 활동에 대해 기업 내부 담당자조차 “요즘 하는 활동이 아니라 잘 모른다”고 난색을 표하는 경우도 있었다. 시장 추정치 8000만원에서 1억원 이상의 자문료가 들어간 작성 결과물들이 무용지물로 끝나지 않도록 국내 5대 그룹사의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분석해봤다. 이달엔 ‘E’(환경) 관련 의제를 살펴본다.
① 리스크로 다가오는 환경 의제
② 흐르는 친환경 시계, 과정 커뮤니케이션 필요

기업은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환경 의제에 접근하는 경향이 크다. 실제 유럽의 탄소국경세 도입이나 유럽기후법(European Climate Law) 상정과 같은 의제는 당장 제품 가격 경쟁력에 영향을 미쳐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눈여겨봐야 하는 흐름이다.

유럽기후법은 2030년까지 유럽(EU)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1990년 대비 최소 55%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탄소 배출량과 감축량을 더해 순배출 0을 만드는 개념)을 달성한다는 목표 아래 지난해 승인된 법안이다. 탄소 배출 감축에 법적 구속력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탄소국경세는 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로, 미국 역시 도입을 예고한 상황이다. 우선 EU에선 2023년 1월 1일부터 철강·시멘트·비료·알루미늄·전기 등 5개 분야에 탄소국경세가 적용된다.

삼성전자는 당장 100%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을 약속하는 ‘RE100’가입에 대한 도전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를 공급하는 구글과 애플을 비롯해 경쟁사인 TSMC가 가입했고, 3M과 샤넬 등 전세계 300개 이상 기업이 참여하면서 글로벌 사업자인 삼성의 행보에도 눈길이 쏠렸다.

RE100 가입은 해당 기업의 탄소중립 의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처럼 여겨지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삼성은 국내 전자·전기 업계와 함께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아직 RE100같은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기보다는 개선과정을 커뮤니케이션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가령 2020년 미국과 유럽, 중국에서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목표로 한 후 이를 달성했다거나, 제품 사용단계에서 온실가스 2억500만톤 감축을 목표로 했는데, 3억100만톤을 감축했다는 등의 스토리를 앞세우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