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 매거진

국정혼란을 잠재우고 G7으로 가는 그랜드 전략은

[신호창의 룩 업 릴레이션스] 선거 캠페인 기간 3배 늘리고 검증 강화해야

  • 기사입력 2024.06.20 08:00
  • 최종수정 2024.06.20 09:31
  • 기자명 신호창

더피알=신호창 | 선거캠페인 개혁이다. 언제부터인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비슷한 개혁 정책들이 반복되어 시행되지만 해결되지 않은 채 다음 정권으로 넘어간다.

국민연금, 남북관계, 지역균형발전, 저출산 고령화, 교육혁신, 일자리 창출, 노동권 등은 30년 전부터 거론되어 왔다. 만약 대통령 선거 캠페인 동안에 이 정책과 정책 실행 방법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뤄진다면, 선거 결과가 곧 사회적 합의이기에 당선자는 바로 정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정식 선거캠페인 기간을 지금보다 3배 이상 늘리고 후보자간 토론은 주요 정책별로 최소 1회 이상 하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공개 토론에서는 어떻게 정책을 실현시킬 것인지를 의제로 삼아야 한다.

혁신이 실패하는 이유는 정책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다. 이해관계자 간의 합의와 정책 수용자인 국민의 동의를 창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거캠페인을 개혁해서 가장 바람직한 정책 방향과 효과적인 실현 방법을 제시하는 후보와 정당을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대통령,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등을 선택하는 선거는 국가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민주주의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선거 캠페인은 유권자 갈라치기, 그럴듯한 정책 남발, 상대방의 허점 들추기, 인기인 선발대회와 같은 수준에 그쳐 오히려 민주주의 과정을 훼손하고 있다.

선거캠페인이 지닌 문제점은 지역적 집단적 갈등을 내재화시키고 국가 명성조차 추락시키고 있다.

후보자의 능력이란 국가나 지역의 시대정신을 반영한 정책의 제시와 이에 대한 유권자의 동의를 구하는 전략적 소통이다. 선거에서 이를 검증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는 곧 당선자의 국정수행 결과로 나타나고 국가의 수준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보자의 정책 소통 능력을 충분히 검증할 수 있도록 선거 캠페인 기간을 지금보다 3배 이상 늘리고 검증 내용과 방법도 확대해야 한다.

40년 전, 우리 국민은 대통령 직선제라는 민주주의 제도를 선택함으로 써 중진국 대열에 입성할 수 있었다. 선거캠페인 개혁은 국정혼란을 잠재우고 진정한 선진국 위상을 확보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관계자들이 4월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제22대 총선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 촉구 기자회견’에서 선거공보물을 살펴보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뉴시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관계자들이 4월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제22대 총선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 촉구 기자회견’에서 선거공보물을 살펴보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The PR 더피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