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 매거진

산업계·금융위, 생산적 금융으로 혁신성장 도모

AI 등 미래산업 투자, 금융당국에 해법 요구
산업계, 미래산업 자본 조달 제도 개선 촉구

  • 기사입력 2025.11.25 10:44
  • 기자명 최현준 기자

더피알=최현준 기자|산업계가 첨단 미래산업 투자 자본 조달이 여전히 어려운 현실을 지적하며 금융당국에 제도 개선을 공식 요청했다.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산업계는 금융당국에 AI 등 첨단 미래산업의 투자 자본 조달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검토해 줄 것을 25일 주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초청해 금융산업위원회 제44차 전체 회의를 개최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이란 주제의 강연을 맡아, 금융위가 추진 중인 3대 분야(정책금융, 민간금융, 자본시장) 9대 과제를 설명했다.

권 부위원장은 '생산적 금융'에 대해 "금융 전 분야의 자금흐름을 부동산에서 첨단·혁신· 벤처기업으로, 예금에서 자본 사장 투자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이제는 금융이 부동산·담보에 편중된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지속가능한 성장을 선도하는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강연에는 금융산업위원회 위원사들과 주요 그룹도 함께 참여했다. 진옥동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회 위원장(신한금융지주 회장)을 비롯해 김신 SKS PE 부회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오태균 한국투자금융지주 사장, 최승훈 삼성전자 부사장, 김기동 SK 부사장,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 양원준 포스코홀딩스 부사장, 신용인 한화 부사장 등 기업인 40여 명이 참석했다.

기업인들은 금융이 미래산업을 키워낼 수 있는 방법론을 검토해 줄 것을 주문하며, 정부가 논의 중인 배당세 분리과세 및 장기보유세제혜택 등을 건의했다. 은행의 비상장주식 RWA(위험가중치·Risk-Weighted Assets)는 400%에서 250%로 완화했으나, 은행의 기업대출에 대한 RWA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이를 개선할 것을 촉구했다.

진옥동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생산적 금융은 기존의 오래된 금융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리는 시대적 키워드"라며 "금융이 미래산업을 키워낼 때, 한국 금융의 위상 또한 한 단계 더 도약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