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 매거진

삼성전자, ‘휴보’ 개발사 자회사로…미래로봇 개발 본격화

국내 대표 로봇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 최대주주 지위 확보

  • 기사입력 2024.12.31 10:34
  • 기자명 김경탁 기자

더피알=김경탁 기자 | 삼성전자가 국내 최초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바 있는 국내 대표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에 속도를 낸다고 31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2023년 868억 원을 투자해 14.7%의 지분을 보유한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콜옵션을 행사했다. 삼성전자의 지분은 35.0%로 증가, 기존 2대 주주에서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에 따라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11년 카이스트 휴보 랩 연구진이 설립한 기업이다.

2017년 12월 11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에서 로봇을 이용한 ICT 스페셜 성화 봉송이 열려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가 성화를 봉송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2017년 12월 11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에서 로봇을 이용한 ICT 스페셜 성화 봉송이 열려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가 성화를 봉송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미래로봇추진단 신설로 첨단 기술 확보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함으로써 미래로봇 개발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다진다. AI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과 결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대표이사 직속 조직인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했다. 이 조직은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원천 기술 확보를 통해 차세대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 멤버이자 카이스트 명예교수인 오준호 교수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퇴임한 후 삼성전자 고문 겸 미래로봇추진단장을 맡는다. 오 교수는 오랜 기간 축적한 로봇 기술과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미래로봇 개발에 힘을 실을 전망이다.

지난 1월 열린 'CES 2024'를 통해 삼성 타이젠 OS(운영체제)가 첫 선을 보이며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인공지능(AI) 동반자 로봇(컴패니언) '볼리(Ballie)'에 탑재됐다. 사진=삼성전자
지난 1월 열린 'CES 2024'를 통해 삼성 타이젠 OS(운영체제)가 첫 선을 보이며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인공지능(AI) 동반자 로봇(컴패니언) '볼리(Ballie)'에 탑재됐다. 사진=삼성전자

시너지협의체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삼성전자는 최대주주로서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시너지협의체’를 운영, 글로벌 로봇 사업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협의체는 미래로봇 기술 개발, 로봇 사업 전략 수립, 수요 발굴 등을 통해 양사의 성장을 돕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및 물류 자동화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이들 로봇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와 환경적 변수를 AI 알고리즘으로 학습·분석해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 시장 진출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됨에 따라 미래로봇 개발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결국 두 회사의 윈-윈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