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김경탁 기자|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이 29일 열렸다. SK텔레콤과 SK에코플랜트가 AWS(아마존웹서비스), 울산광역시와 함께 하는 이번 센터는 국내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로, 국가 AI 인프라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행사에는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유영상 SK텔레콤 CEO, 김형근 SK에코플랜트 CEO를 비롯해 김두겸 울산시장, Jake Park AWS 운영총괄, 신재원 AWS코리아 전무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AI 데이터센터를 통해 울산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그룹의 ‘네 번째 퀀텀 점프’로 규정하고 직접 진두지휘해 왔다. 지난 6월에는 최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SK와 AWS 간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 계약이 체결됐다.

글로벌 수준 설계…제조업 르네상스 견인
울산 데이터센터는 초고집적 GPU를 활용해 랙당 2040kW 전력을 소비하고, 일반 데이터센터보다 410배 높은 냉각 용량을 갖춘 하이브리드(공랭·수랭) 시스템을 적용한다. AI 연산에 최적화된 구조와 안정적인 네트워크 설계로 글로벌 최고 수준 성능과 효율을 목표로 한다.
울산은 안정적 가스 공급망과 해저케이블 인프라, 산업 친화적 입지를 갖춘 최적지로 꼽힌다. SK 측은 이번 센터가 디지털 트윈, 스마트팩토리 등 제조업 혁신을 촉진해 울산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룹 역량 총결집·AWS와 전략 협력
이번 사업에는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SK가스, SK케미칼, SK멀티유틸리티, SK하이닉스 등 ICT·에너지 계열사가 총출동했다. SK가스와 SK멀티유틸리티 발전소 연계를 통해 한전 대비 저렴한 전력 공급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노린다.
최 회장은 지난해 앤디 제시 AWS CEO와의 만남에서 그룹 역량을 소개하며 협력의 물꼬를 텄고, 이후 30여 차례 실무 협의 끝에 이번 사업을 성사시켰다.

한편 이날 기공식에서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은 “오늘 착공하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대한민국 디지털 경제의 근간을 세우고 미래를 구축하는 중요한 인프라”라며 “앞으로도 SK는 책임감 있는 동반자로서, 끝까지 울산과 대한민국의 AI 강국으로 향하는 여정에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지역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가는 구심점이 되는 동시에 국가적 관점에서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도약할 기회”라며 “울산시와 SK 그룹이 협력해 온 전략적 기반 위에 ‘AI DC클러스터 구축’이라는 신 산업 생태계 조성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형근 SK에코플랜트 CEO는 “SK에코플랜트는 반도체, AI 관련 인프라 구축에서 차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SK그룹의 미래 성장 전략 실현은 물론 국가적 차원의 ‘AI DC 클러스터 구축’에 일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